조금은 정신나간 상상(13)
-
단상을 이어 붙여 보면 하나의 결론으로 귀결이 된다 7. 경기 결과에 영향을 주는 선수들의 심리적 요인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는 것 같다. 최근 파리 올림픽이 열리는 줄 알면서도 예전만큼의 감흥이 일지 않는 터라 가끔 하이라이트나 봐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근래의 탁구 경기가 예상치 못한 결과로 기존의 예상을 깨뜨리고 있다. 신유빈-임종훈 조가 혼합복식 4강에 오른 것에 더해 동메달을 차지한 것도 놀라운 일이었지만 더욱 충격적이었던 것은 중국의 왕추친 선수가 스웨덴의 Truls Möregårdh(이 선수의 이름을 한글로 표기한 글들을 보면 각각 제각각이라 어떻게 표기할지 몰라 위키피디아에 기재된 이름을 인용했다)선수에게 진 일이다.왕추친 선수는 현재 랭킹 1위인 것에 반해 모가드 선수는 26위로 랭킹만 두고봐도 이변인 것은 틀림없으나 올림픽에서 이변은 종종 일어나기에 혹자는 이에 대해 충분히 그럴 수 있는 일..
2024.08.01 -
단상을 이어 붙여 보면 하나의 결론으로 귀결이 된다 6. 비스카리아류 라켓들에 대한 단상 下편
上편에서는 비스카리아류 라켓들이 서로 차이점을 가질 것이라는 추측을 했다. 이는 개인적으로 느낀 바를 토대로 추측한 것에 불과하다. 추측의 근거로써 제시한 것이 1. 출시시기(2000년 티모볼 스피릿, 2008년 티모볼 ALC, 테너지)가 공 크기 변화, 스피드 글루 금지와 맞물려 있다는 것, 2. 마롱과 왕리친이 비스카리아나 티모볼 ALC 대신 티모볼 스피릿을 먼저 썼다는 점, 3. 마롱과 왕리친 모두 원래 5겹 합판을 썼다는 점, 4.마롱이 티모볼 ALC를 쓰게 되며 스카이라인 3를 사용하게 된 점 5. 마롱과 왕리친 모두 ALC 사용 후 7겹 합판을 쓴 적이 있다는 점 마롱과 왕리친이 상당히 주요한 근거라고 생각했는데 둘다 스피드글루 금지 이전 시기에는 5겹 합판을 썼으며, 포핸드에 강점을 가지고 ..
2023.03.07 -
단상을 이어 붙여 보면 하나의 결론으로 귀결이 된다 6. 비스카리아류 라켓들에 대한 단상 上편
오랜만에 쓰는 단상편이다. 으레 그렇듯이 주관이 많이 들어갔고 추측성 글이니 가볍게 보길 바란다. 1. 비스카리아와 다른 아우터 ALC라켓은 모두 동일한 라켓인가 최근에 합판을 쓰는 선수는 거의 없다시피 해지는 추세인데, 그러는 동안에 ALC는 보편화가 된 지 좀 오래된 느낌이다. 스피드 글루 금지와 공의 재질 변화 속에서 대표적으로 마롱이 5에서 7겹, 7겹에서 ALC로 넘어갔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장지커와 판젠동, 그리고 티모볼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물론 티모볼도 프리모락 카본을 쓰긴 했지만...) 사실 거의 모든 ALC류 라켓의 공동조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1993년에 출시한 비스카리아이다. 티모볼이 비스카리아를 개인적으로 세부조정하여 2000년에 나온 것이 티모볼 스피릿이고 티모볼 A..
2023.03.04 -
단상을 이어 붙여 보면 하나의 결론으로 귀결이 된다 5. 합판에서 ALC로, ALC에서는 아우터냐 이너냐 with 마롱, 왕리친, 이시카와 카스미
예전에 단상 2편을 적을 때 만들었던 자료다. 스피드 글루 금지 이후의 마롱과 왕리친의 용품 변화 양상이 비슷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마롱도 티모볼 스피릿을 쓰기 전에 닛타쿠의 어쿠스틱 등 합판을 썼었고 왕리친도 합판을 썼었지만 스피드 글루 금지 이후에 둘 모두 티모볼 스피릿을 사용했다. 마롱은 티모볼 ALC를 거치긴 했지만 다시 7겹 합판을 들었고, 왕리친은 로즈우드 합판을 쓰다가 클리퍼를 들었다 마롱: 5겹합판 ->티모볼 스피릿(ALC) -> 티모볼 ALC->DHS 506(7겹 합판) 왕리친: 5겹합판->티모볼 스피릿(ALC)-> 로즈우드(5겹 합판)-> 클리퍼(7겹 합판) 조금 축약해서 나타내긴 했지만 5겹->ALC->7겹까지의 루트가 비슷하게 느껴진다. 물론 이후 왕리친은 은퇴하고 마롱은 이너 ALC..
2023.01.29 -
해외직구 어떻게 하는 것이 이득인가?
어떤 물건을 구매할 때 바로 구매하는 것보다 해외에서 구매하는 것이 더 저렴한 경우가 굉장히 많다. 그러나 해외직구에 장점만 있냐 하면 또 그것은 아니다, 해외직구를 할 때에도 면밀히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오늘은 그 부분에 대해서 내가 생각하기에 주의해야 할 점을 몇 가지 적어보려고 한다 1. 해당 국가 통화로 결제 원화결제를 하게 되면 해당 국가의 통화로 결제하는 것보다 돈이 좀 더 많이 들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해당 국가의 통화로 결제하는 것을 추천한다. 원화결제 시 나오는 금액과 해당 국가 통화로 결제했을 때의 금액을 비교해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2. 환율을 고려할 것 아이폰 13 PRO MAX 출시가격과 아이폰 14 PRO MAX 출시 가격을 비교해보면 환율이 변했던 것을 ..
2023.01.28 -
단상을 이어 붙여 보면 하나의 결론으로 귀결이 된다. 4 중국식 펜홀더 (traditional pen holder vs modern pen holder)
정말 오랜만에 쓰는 단상편이다 제목을 거창하게 쓰는 바람에 실속없는 후속편을 쓸까봐 오랫동안 쓰지 못했었는데 중국식 펜홀더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꽤나 괜찮은 것 같아 이 제목을 다시 한 번 들고 나오게 되었다 1. 최근의 경기를 보면, 특히 올림픽에서 펜홀더를 본 적이 있는가? 전세계인의 축제라고 할 수 있는 올림픽 무대에서 벌써 펜홀더를 못 본지 꽤 오래된 것 같지만 사실 2000년대 초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올림픽 무대 정상에서 펜홀더를 볼 수 있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결승전이 일본식 펜홀더를 쓰는 유승민과 중국식 펜홀더를 쓰는 왕하오 선수의 경기였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중국식 펜홀더를 쓰는 마린과 왕하오의 경기로 결승이 진행되었고,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펜..
2022.05.20